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불편하시다면 뒤로 가기를 눌러주세요
서울시 첫 실태조사…가장 필요한 정책은 '자금 지원'

[촬영 안철수] 2025.6
(서울=연합뉴스) 윤보람 기자 = 서울 소재 중소기업 5천곳 가운데 수출하는 기업은 6.2%, 신사업을 추진하는 기업은 4.5%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에서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중소기업 정책으로는 '자금 지원'이 꼽혔다.
서울시는 서울 중소기업의 현황을 종합 분석한 '2024년 중소기업 실태조사'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조사는 서울에 있고 매출액 5억원(숙박 및 음식점업, 교육서비스업은 3억원)을 초과한 중소기업 중 5천개를 표본 추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개별면접을 기본으로 팩스, 이메일 등 비대면 조사도 병행했다.
서울 중소기업의 평균 기업 연령은 14.1년이다.
기업 연령이 20년 이상인 비중은 26.0%이고 규모별로는 중기업이 15.9년으로 소기업(13.6년)보다 다소 높다.
기업당 평균 종사자는 12.6명이며 중기업은 36.1명, 소기업은 6.4명이었다.
인력 부족률은 평균 1.7%로, 특히 저학력·저경력 인력에서 부족률이 높았다.
연간 매출 총액은 670조9천699억원으로 집계됐고 업종별로는 도소매업 비중이 42.6%로 가장 컸다.
또한 전체 매출의 95.6%가 내수에 집중돼 수출 비중은 4.4%에 그쳤다.
수출하는 기업의 비율은 6.2%에 머물렀고, 중기업이 9.8%로 소기업(5.3%)보다 높았다.
기존 사업 외에 신사업을 별도로 추진하는 기업은 전체의 4.5%에 불과했다.
중기업은 정보통신(2.7%)과 친환경(2.6%) 분야, 소기업은 로봇·친환경·시스템반도체 등에서 신사업을 추진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신사업을 추진하지 않는 이유로는 '현재 사업만으로도 충분하다'(78.4%)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자금 조달'(11.1%), '아이템 발굴 어려움'(4.7%) 등이 뒤를 이었다.
신사업 발굴에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는 중·소기업 모두 '자금 지원'(각 58.6%, 60.5%)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환경·사회·지배구조 개선(ESG) 경영에 대한 인지도는 27.7%였으나 실제 도입 비율은 5%에 그쳤다.
예산·인력 부족(37.5%)과 경영진 의지 부족(28.7%)이 도입을 가로막는 주요 원인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이 겪는 가장 큰 애로는 '자금확보'(26.5%)였으며 다음으로 '원가 및 인건비 상승'(23.7%), '인력 채용'(15.9%), '수익성 하락'(15.4%) 순이었다.
서울시의 기업지원 정책 중 향후 활성화가 필요한 분야로는 '자금 지원'(45.7%)이 1순위로 꼽혔다.
시는 내년도 중소기업 육성계획을 비롯한 정책 수립에 이번 조사 결과를 반영해 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맞춤형 지원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조사는 통계청 승인을 받은 '국가승인통계'로 등재됐다. 중소기업 실태조사와 관련해 지자체 단위로는 전국 최초의 공식 통계라고 시는 전했다.
bryoon@yna.co.kr
Copyright 연합뉴스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