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불편하시다면 뒤로 가기를 눌러주세요
내일부터 총 7차례 토론회…내달 14일 정부안 공개될 듯

기후위기비상행동 관계자들이 지난 2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앞에서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2018년 대비 최소 67% 감축할 것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이재영 기자 =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2035 NDC)를 설정하기 위한 공론화 절차가 시작된다.
환경부는 19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리는 총괄 토론회를 시작으로 2035 NDC를 논의하는 토론회를 7차례 진행한다고 18일 밝혔다.
토론회는 유튜브로 생중계되며, 홈페이지(opinion.2050cnc.go.kr)를 통한 의견 접수도 이뤄진다.
첫 번째 토론회에서는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기조발제를 진행하고 최창민 플랜1.5 변호사와 조영준 대한상공회의소 지속가능경영원장이 각각 '기후 헌법소원, ICJ 권고적 의견 등을 고려한 감축 수준'과 '산업·기업 입장에서 본 2035 NDC 및 탈탄소 산업 전략'을 주제로 발표할 예정이다.
각각 전력, 수송, 산업, 건물, 농축산·흡수원·순환경제를 주제로 열릴 2∼6번째 토론회는 전기차 생산공장 등 각 분야와 관련된 현장에서 열린다.
2035 NDC 정부안은 내달 14일 열릴 마지막 7차 토론회에서 공개될 전망이다.
환경부는 최근 국회에 보고하는 형식으로 2035 NDC 정부안 4가지 후보를 공개했다.
2018년 온실가스 배출량 대비 감축률을 기준으로 '40% 중후반대', '53%', '61%', '67%'(2018년과 2035년 배출량을 모두 순배출량으로 할 경우 65%) 등이다.
산업계는 60%를 넘는 감축률은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기후환경단체들은 산업계가 요구하는 40% 중후반대나 2018년부터 2050년까지 매년 일정한 비율로 온실가스를 감축한다고 했을 때 2035년 감축률인 53%는 기후위기 심각성에 견주면 너무 낮다고 주장한다.
최근 여당에서 60% 이상 감축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반복해서 나오면서 61%가 2035 NDC로 유력시되고 있다.
현재 국회에는 2035 NDC 하한선을 60%(위성곤 의원 대표발의)와 61%(이소영 의원 대표발의)로 설정한 탄소중립기본법 개정안이 발의돼있다.
더불어민주당 내 기후행동의원모임 '비상'은 최근 기자회견을 열고 작년 헌법재판소의 탄소중립기본법 헌법불합치 결정의 취지 등을 고려했을 때 2035 NDC는 61.2% 이상(순배출량 기준)이어야 한다고 밝혔다.
기후솔루션이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실시한 성인 2천명 대상 설문조사에선 2035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국제 권고안(2019년 배출량 대비 60% 감축)대로 감축하는 방안에 대해 17.2%가 '매우 동의', 44.6%가 '동의'한다고 밝혔다. 동의 수준이 보통이라는 응답자는 28.1%였고 '동의하지 않는 편'과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는 각각 8.2%와 2.1%였다.
환경부는 내달 중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심의와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11월 10∼21일 브라질 벨렝에서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30)가 열리기 전 2035 NDC를 확정할 계획이다.
jylee24@yna.co.kr
Copyright 연합뉴스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